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에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전기차 화재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안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이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

왜 전기차 화재 대처법이 중요한가요?
전기차는 2018년 5.6만 대에서 2025년 현재 68만 대로 약 1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그와 함께 충전 시설도 2018년 2.7만 개에서 현재 41만 개로 15배 이상 늘어났죠. 하지만 전기차 화재 사고도 매년 약 91% 증가하고 있어 안전 대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특히 전기차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배터리의 특성상 한번 불이 붙으면 진화가 어렵고, 열이 다시 축적되어 재발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더 높은 수준의 대응 체계가 필요하죠!
국토교통부 전기차 화재 안전 매뉴얼 핵심 내용
국토교토우는 최근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화재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일반건축물 전기차 화재 안전 매뉴얼'을 마련하여 2025년 3월 31일부터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를 계기로 마련된 것인데요. '23년 12월 공동주택 대상 매뉴얼에 이어 이번에는 대형마트, 병원, 업무시설 등 일반건축물로 안전관리 범위를 확대한 것이 특징입니다.
1. 전기차 화재 징후 알아보기
전기차 화재는 갑작스럽게 발생하기보다는 몇 가지 징후를 보입니다.
- 배터리에서 이상한 소리(끓는 소리, 터지는 소리)가 날 때
- 연기나 타는 남새가 날 때
- 배터리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뜨거울 때
- 차량 하부에서 액체가 흘러나올 때
-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경고등이 켜질 때
이런 징후가 보이면 즉시 차량에서 멀리서 119에 신고하세요!
2. 화재 발생 시 대처방법
건물 관리주체가 해야 할 일
1. 화재 인지 및 초기 대응
- 화재 발생 시 즉시 119에 신고
- 소화기, 소화전 등 초기 소화 시도
- 화재 경보 시스템 작동 및 건물 내 대피 방송
2. 대피 유도
- 건물 이용자들을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 유도
- 화재 발생 층과 인접 층 우선 대피
- 비상구, 피난계단 등 대피로 확보
3. 소방대 지원
- 소방대에 화재 상황, 건물 구조 등 정보 제공
- 비상 전원, 소방시설 작동 상태 확인
- 필요시 건물 내 CCTV 확인하여 고립자 위치 파악


건물 이용자가 해야 할 일
1. 화재 발견 시
- 큰 소리로 주변에 알리고 119에 신고
- 가능하다면 소화기로 초기 진화 시도
- 전기차 화재는 A급(일반화재용) 소화기나 분말소화기 사용
2. 대피 방법
- 엘리베이터 절대 사용 금지, 계단 이용
- 연기 속으로는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가리고 낮은 자세로 이동
- 출구 방향을 등지지 말고 벽을 따라 이동
3. 고립 시 행동요령
- 문틈을 옷이나 수건으로 막아 연기 유입 차단
- 물을 적신 수건으로 코와 입 보호
- 창문 근처로 이동해 구조 요청, 야간에는 손전등 이용

3. 전기차 화재 신속 대응 체계
국토교통부는 소방청, 한국교통안전공단, 현대차, 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와 협업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신고 시범사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에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고객센터에 알리고 소방서에 신고하는 체계입니다.
- 차량의 정보(연락처, 차종, 차량번호, 위치)가 소방서에 자동 전달됨
- 차량 소유자에게도 유선 및 문자로 위험 상황 안내
- 출동한 소방대원이 신속히 초기 대응 가능
일상생활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법
1. 충전 시 주의사항
- 공인된 충전기와 케이블만 사용하기
- 충전 중인 차량을 장시간 방치하지 않기
- 충전기나 케이블의 손상 여부 정기적으로 확인하기
2. 정기적인 점검
- 제조사 권장 정비 주기 준수하기
- 배터리 시스템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전문가에게 문의하기
- 차량에 물리적 충격 발생 후 배터리 상태 확인하기
3. 주차 시 유의사항
- 가능하면 실외나 통풍이 잘 되는 공간에 주차하기
- 지하주차장 주차 시 비상구 위치 미리 확인해 두기
- 인화성 물질 근처에 주차하지 않기
마무리
전기차는 환경친화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이동수단이지만, 안전에 대한 준비도 함께 해야 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안전 매뉴얼을 숙지하고, 평소에도 화재 예방과 대처 방법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더욱 안전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을 거예요.
이 매뉴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누리집의 '정책자료 - 정책정보'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웹사이트 : https://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lst.jsp?s_category=p_sec_5&srch_usr_titl=Y&psize=10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꼭 한번 살펴보세요!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지하철 혼잡도 데이터 분석 (2025년 1분기) (2) | 2025.05.12 |
---|---|
부천대장-홍대 광역철도 연내 조기착공 확정 - 수도권 서남부와 서북부 철도 사각지대 해소 (1) | 2025.03.15 |
2025 설 명절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기간 (0) | 2025.01.25 |
영월~삼척 고속도로 예타통과 소식 공유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