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 조사 개요
- 조사기관: 리얼미터
- 조사기간: 2025년 5월 22일~23일 (2일간)
- 조사대상: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9명
- 조사방법: 무선 ARS (자동응답조사)
- 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 응답률: 8.3%
대선 후보 지지율 현황
주요 후보별 지지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46.6%
- 김문수 (국민의힘): 37.6%
- 이준석 (개혁신당): 10.4%
- 권영국 (민주노동당): 1.6%
- 황교안 (무소속): 0.9%
- 송진호 (무소속): 0.3%
지역별 지지율 분석
수도권
- 서울: 이재명 33.4%, 김문수 47.2%, 이준석 13.6%
- 인천/경기: 이재명 46.6%, 김문수 36.0%, 이준석 11.4%
영남권
- 부산/울산/경남: 이재명 50.2%, 김문수 37.0%, 이준석 7.1%
- 대구/경북: 이재명 31.6%, 김문수 49.1%, 이준석 12.3%
호남권
- 광주/전라: 이재명 73.9%, 김문수 13.5%, 이준석 7.3%
충청권
-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55.7%, 김문수 37.2%, 이준석 6.0%
연령대별 지지율 특징
청년층(18~29세)
- 이재명 27.1%, 김문수 36.1%, 이준석 31.9%
- 이준석 후보가 청년층에서 상당한 지지율 확보
중장년층(40~50대)
- 40대: 이재명 62.2%, 김문수 27.5%, 이준석 4.6%
- 50대: 이재명 61.2%, 김문수 31.3%, 이준석 3.6%
고령층(60세 이상)
- 60대: 이재명 41.9%, 김문수 47.7%, 이준석 6.3%
- 70세 이상: 이재명 35.8%, 김문수 54.2%, 이준석 3.7%
가상 양자대결 시나리오
이재명 vs 김문수
- 이재명: 51.1%
- 김문수: 43.9%
- 격차: 7.2%p
이재명 vs 이준석
- 이재명: 48.9%
- 이준석: 37.0%
- 격차: 11.9%p
정당 지지율
- 더불어민주당: 43.5%
- 국민의힘: 37.8%
- 개혁신당: 7.7%
- 조국혁신당: 3.0%
- 무당층: 5.3%
핵심 분석 포인트
1. 이재명 후보 우세 지속
- 전체 지지율 46.6%로 안정적 선두 유지
- 호남권에서 압도적 지지율 (73.9%)
- 40-50대 중장년층에서 강세
2. 김문수 후보의 지역적 강세
- 서울과 대구/경북에서 이재명 후보 앞서
-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우위
- 보수층 결집 효과 나타남
3. 이준석 후보의 세대적 특징
- 18-29세 청년층에서 31.9% 지지율로 돌풍
- 남성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
- 전국적으로는 10% 내외 지지율 유지
4. 투표 참여 의향
- 전체 응답자의 92.9%가 투표 의향 표명
- 이재명 지지층 96.3%로 가장 높은 투표 의향
- 김문수 지지층 91.7%로 뒤따름
당선 가능성 전망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당선 가능성
- 이재명: 55.4%
- 김문수: 34.6%
- 이준석: 5.9%
지지 강도 분석
후보별 지지 강도 (계속 지지할 것)
- 이재명: 93.9%
- 김문수: 92.1%
- 이준석: 74.4%
선거 전망
이번 리얼미티 조사 결과는 이재명 후보가 안정적인 선두를 유지하는 가운데, 김문수 후보가 지역적 강세를 바탕으로 추격하고 있으며, 이준석 후보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독특한 지지 기반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서울에서 김문수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앞서는 등 수도권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향후 선거 결과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분석은 리얼미티 2025년 5월 4주차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HOME 여론조사결과 보기 여론조사결과 등록현황 인쇄 아래 여론조사 결과는「공직선거법」및「선거여론조사기준」에 따라 등록된 것으로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서 사전에 검증한 자료가
www.nesdc.go.kr
반응형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의 '진짜 대한민국' 청사진, 과연 실현 가능할까? | 2025 대선공약집 완전 분석 (4) | 2025.06.01 |
---|---|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인수 확정! 4천4백만 명 넘는 국민들의 참여 준비 완료 (4) | 2025.05.25 |
이재명 후보의 주식시장 활성화 공약 분석 - 코스피 5,000 시대를 향한 로드맵 (2) | 2025.05.13 |